장위동 국공립어린이집

Jangwi-dong Daycare Cneter

위치 : 서울특별시 성북구 장위로19길 35

기간 : 2016.11 ~ 2017.5

용도 : 노유자시설 (어린이집)

면적 : 496.65㎡

규모 : 지상2층 / 지하1층

설계 : 문경진, 정황기

협력 : 터구조(구조) / 정인토목(토목) / 하나기연(전기) / 타임테크(기계)

시공 : 미래공간씨앤디

사진 : 조경민

장위동 국공립어린이집

Jangwi-dong Daycare Cneter

위치 : 서울특별시 성북구 장위로19길 35

기간 : 2016.11 ~ 2017.5

용도 : 노유자시설 (어린이집)

면적 : 496.65㎡

규모 : 지상2층 / 지하1층

설계 : 문경진, 정황기

협력 : 터구조(구조) / 정인토목(토목) / 하나기연(전기) / 타임테크(기계)

시공 : 미래공간씨앤디

사진 : 조경민

장위동 국공립어린이집

Jangwi-dong Daycare Cneter

위치 : 서울특별시 성북구 장위로19길 35

기간 : 2016.11 ~ 2017.5

용도 : 노유자시설 (어린이집)

면적 : 496.65㎡

규모 : 지상2층 / 지하1층

설계 : 문경진, 정황기

협력 : 터구조(구조) / 정인토목(토목) / 하나기연(전기) / 타임테크(기계)

시공 : 미래공간씨앤디

사진 : 조경민

뉴타운 해제지역에서 어린이집 만들기

대지 인근 지역은 장위재정비촉진지구 13구역 해제 이후, 도시재생 시범 사업지로 선정되어, 기존 도시구조를 유지한 채, 부분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뉴타운 해제지역의 열악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고, 쾌적하고 안전한 보육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동안 뉴타운 지정으로 흩어져버린 공동체의 회복을 위해, 기초적인 커뮤니티 장소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뉴타운 해제지역에서 어린이집 만들기

대지 인근 지역은 장위재정비촉진지구 13구역 해제 이후, 도시재생 시범 사업지로 선정되어, 기존 도시구조를 유지한 채, 부분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뉴타운 해제지역의 열악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고, 쾌적하고 안전한 보육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동안 뉴타운 지정으로 흩어져버린 공동체의 회복을 위해, 기초적인 커뮤니티 장소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Connect to Content

Add layers or components to swipe between.

Connect to Content

Add layers or components to swipe between.

설계과정

1. 대지현황

대지는 1개층 높이차가 있는 경사지에 위치하고, 2개의 단독주택 필지로 구성된다. 낮은 부분인 남측 도로에 인접하여 출입구와 주차장이 있으며, 상부에는 마당과 주택이 있다.

2. 프로그램 배치

기존 지형의 맥락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배치한다. 남측 도로에 인접하여 출입구와 주차장을 계획하고, 상부에 보육실과 놀이터를 계획한다.

3. 보육환경 보호

뉴타운 해제 이후, 대지 주변의 건물들이 5층 정도의 다세대주택으로 재건축되어, 주변의 밀도가 증가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채광∙시선 등 여러 측면의 간섭을 조절하기 위한 박공 형태의 외피를 설정한다. 그 안에 독립된 놀이터와 보육공간을 확보한다.

4. 커뮤니티 확장

남측 도로에 면한 지하1층에는 보호자 대기공간과 장난감 도서관이 있어서, 어린이와 관련된 지역 커뮤니티의 중심이 된다. 그리고 박공 형태의 외피에 채광과 조망을 고려한 창을 내어, 밝고 따뜻한 보육환경을 조성하고 주변으로 시선을 확장한다.

설계과정

1. 대지현황

대지는 1개층 높이차가 있는 경사지에 위치하고, 2개의 단독주택 필지로 구성된다. 낮은 부분인 남측 도로에 인접하여 출입구와 주차장이 있으며, 상부에는 마당과 주택이 있다.

2. 프로그램 배치

기존 지형의 맥락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배치한다. 남측 도로에 인접하여 출입구와 주차장을 계획하고, 상부에 보육실과 놀이터를 계획한다.

3. 보육환경 보호

뉴타운 해제 이후, 대지 주변의 건물들이 5층 정도의 다세대주택으로 재건축되어, 주변의 밀도가 증가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채광∙시선 등 여러 측면의 간섭을 조절하기 위한 박공 형태의 외피를 설정한다. 그 안에 독립된 놀이터와 보육공간을 확보한다.

4. 커뮤니티 확장

남측 도로에 면한 지하1층에는 보호자 대기공간과 장난감 도서관이 있어서, 어린이와 관련된 지역 커뮤니티의 중심이 된다. 그리고 박공 형태의 외피에 채광과 조망을 고려한 창을 내어, 밝고 따뜻한 보육환경을 조성하고 주변으로 시선을 확장한다.

주민에게 열린 가로변과 주변으로 열린 놀이터

놀이터 (지상1층)

대지 주변과 독립된 공간이지만, 그 경계에는 마을의 풍경이 담겨 있다. 놀이터를 감싸고 있는 외피는 비가 올때는 우산이 되고, 햇빛을 조절하는 차양이 되고, 마을을 바라보는 창이 된다.

유희실 (지상1층~지상2층)

놀이터에서 들어오면 폭 2.1m의 유희실 있고, 계단을 통해 2층까지 확장되며, 각 보육실을 잇는다. 그리고 높은 창에서 쏟아지는 햇살로 가득한 유희실은 어린이들의 도서관이 된다.

보육실 3세반 (지상2층)

보육실 4∙5세반 (지상2층)

장난감도서관 (지하1층)

별도 출입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다목적강당으로도 활용한다.

계단

창 너머 놀이터, 외피 너머 마을이 내려다 보이고, 소통도 이루어진다.

배치도

1. 어린이집

2. 김중업 건축문화의 집

3. 조경

4. 어린이집

5. 장난감도서관

6. 주차장

3

2

1

4

4

1

2

3

지하1층 평면도

1. 커뮤니티 마당

2. 주차장

3. 현관

4. 원장실

5. 장난감도서관

6. 기계실

7. 창고

8. 빗물이용시설

3

2

1

4

4

1

2

3

지하1층 평면도

1. 커뮤니티 마당

2. 주차장

3. 현관

4. 원장실

5. 장난감도서관

6. 기계실

7. 창고

8. 빗물이용시설

3

2

1

4

4

1

2

3

지하1층 평면도

1. 커뮤니티 마당

2. 주차장

3. 현관

4. 원장실

5. 장난감도서관

6. 기계실

7. 창고

8. 빗물이용시설

지하1층 평면도

1. 커뮤니티 마당

2. 주차장

3. 현관

4. 원장실

5. 장난감도서관

6. 기계실

7. 창고

8. 빗물이용시설

지상1층 평면도

1. 놀이터

2. 유희실

3. 보육실

4. 세탁실

5. 조리실

4

5

4

2

2

1

3

2

2

1

4

5

3

지상1층 평면도

1. 놀이터

2. 유희실

3. 보육실

4. 세탁실

5. 조리실

4

5

4

2

2

1

3

2

2

1

4

5

3

지상1층 평면도

1. 놀이터

2. 유희실

3. 보육실

4. 세탁실

5. 조리실

4

1

5

2

2

3

3

2

2

1

4

5

3

지상1층 평면도

1. 놀이터

2. 유희실

3. 보육실

4. 세탁실

5. 조리실

4

3

5

2

5

1

7

7

지상2층 평면도

1. 놀이터

2. 유희실

3. 보육실

4. 교사실

5. 옥외데크

2

5

5

4

3

7

7

1

6

6

6

4

3

5

2

5

1

7

7

지상2층 평면도

1. 놀이터

2. 유희실

3. 보육실

4. 교사실

5. 옥외데크

2

5

5

4

3

7

7

1

6

6

6

2

5

5

4

3

7

7

1

지상2층 평면도

1. 놀이터

2. 유희실

3. 보육실

4. 교사실

5. 옥외데크

2

5

5

4

3

7

7

1

4

6

6

지상2층 평면도

1. 놀이터

2. 유희실

3. 보육실

4. 교사실

5. 옥외데크

2

3

3

1

5

4

4

1

3

3

2

5

4

단면도1

1. 놀이터

2. 커뮤니티 마당

3. 기계실

4. 창고

5. 보육실

2

3

3

1

5

4

4

1

3

3

2

5

4

단면도1

1. 놀이터

2. 커뮤니티 마당

3. 기계실

4. 창고

5. 보육실

1

3

3

2

5

5

4

1

3

3

2

5

4

단면도1

1. 놀이터

2. 커뮤니티 마당

3. 기계실

4. 창고

5. 보육실

단면도1

1. 놀이터

2. 커뮤니티 마당

3. 기계실

4. 창고

5. 보육실

2

1

3

3

1

2

3

단면도2

1. 놀이터

2. 현관

3. 장난감도서관

4. 유희실

5. 유아용화장실

6. 창고

7. 교사실

2

1

3

3

1

2

3

단면도2

1. 놀이터

2. 현관

3. 장난감도서관

4. 유희실

5. 유아용화장실

6. 창고

7. 교사실

1

1

2

3

1

2

3

단면도2

1. 놀이터

2. 현관

3. 장난감도서관

4. 유희실

5. 유아용화장실

6. 창고

7. 교사실

단면도2

1. 놀이터

2. 현관

3. 장난감도서관

4. 유희실

5. 유아용화장실

6. 창고

7. 교사실

2

2

6

2

7

4

5

5

5

5

5

3

5

5

7

1

7

6

5

5

5

5

4

3

2

2

2

1

단면도3

1. 놀이터

2. 주차장

3. 장난감도서관

4. 보육실

2

2

6

2

7

4

5

5

5

5

5

3

5

5

7

1

7

6

5

5

5

5

4

3

2

2

2

1

단면도3

1. 놀이터

2. 주차장

3. 장난감도서관

4. 보육실

2

2

6

2

7

6

5

5

5

5

4

3

2

2

2

1

7

6

5

5

5

5

4

3

2

2

2

1

단면도3

1. 놀이터

2. 주차장

3. 장난감도서관

4. 보육실

단면도3

1. 놀이터

2. 주차장

3. 장난감도서관

4. 보육실

1

1

8

1

8

7

6

5

4

3

7

6

5

2

8

7

6

5

4

3

1

1

1

2

1

1

8

1

8

7

6

5

4

3

7

6

5

2

8

7

6

5

4

3

1

1

1

2

1

1

8

1

8

7

6

5

4

3

1

1

1

2

8

7

6

5

4

3

1

1

1

2

뉴타운 해제지역에서 어린이집 만들기

대지 인근 지역은 장위재정비촉진지구 13구역 해제 이후, 도시재생 시범 사업지로 선정되어, 기존 도시구조를 유지한 채, 부분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뉴타운 해제지역의 열악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고, 쾌적하고 안전한 보육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동안 뉴타운 지정으로 흩어져버린 공동체의 회복을 위해, 기초적인 커뮤니티 장소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뉴타운 해제지역에서 어린이집 만들기

대지 인근 지역은 장위재정비촉진지구 13구역 해제 이후, 도시재생 시범 사업지로 선정되어, 기존 도시구조를 유지한 채, 부분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뉴타운 해제지역의 열악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고, 쾌적하고 안전한 보육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동안 뉴타운 지정으로 흩어져버린 공동체의 회복을 위해, 기초적인 커뮤니티 장소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설계과정

1. 대지현황

대지는 1개층 높이차가 있는 경사지에 위치하고, 2개의 단독주택 필지로 구성된다. 낮은 부분인 남측 도로에 인접하여 출입구와 주차장이 있으며, 상부에는 마당과 주택이 있다.

2. 프로그램 배치

기존 지형의 맥락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배치한다. 남측 도로에 인접하여 출입구와 주차장을 계획하고, 상부에 보육실과 놀이터를 계획한다.

3. 보육환경 보호

뉴타운 해제 이후, 대지 주변의 건물들이 5층 정도의 다세대주택으로 재건축되어, 주변의 밀도가 증가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채광∙시선 등 여러 측면의 간섭을 조절하기 위한 박공 형태의 외피를 설정한다. 그 안에 독립된 놀이터와 보육공간을 확보한다.

4. 커뮤니티 확장

남측 도로에 면한 지하1층에는 보호자 대기공간과 장난감 도서관이 있어서, 어린이와 관련된 지역 커뮤니티의 중심이 된다. 그리고 박공 형태의 외피에 채광과 조망을 고려한 창을 내어, 밝고 따뜻한 보육환경을 조성하고 주변으로 시선을 확장한다.

설계과정

1. 대지현황

대지는 1개층 높이차가 있는 경사지에 위치하고, 2개의 단독주택 필지로 구성된다. 낮은 부분인 남측 도로에 인접하여 출입구와 주차장이 있으며, 상부에는 마당과 주택이 있다.

2. 프로그램 배치

기존 지형의 맥락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배치한다. 남측 도로에 인접하여 출입구와 주차장을 계획하고, 상부에 보육실과 놀이터를 계획한다.

3. 보육환경 보호

뉴타운 해제 이후, 대지 주변의 건물들이 5층 정도의 다세대주택으로 재건축되어, 주변의 밀도가 증가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채광∙시선 등 여러 측면의 간섭을 조절하기 위한 박공 형태의 외피를 설정한다. 그 안에 독립된 놀이터와 보육공간을 확보한다.

4. 커뮤니티 확장

남측 도로에 면한 지하1층에는 보호자 대기공간과 장난감 도서관이 있어서, 어린이와 관련된 지역 커뮤니티의 중심이 된다. 그리고 박공 형태의 외피에 채광과 조망을 고려한 창을 내어, 밝고 따뜻한 보육환경을 조성하고 주변으로 시선을 확장한다.

주민에게 열린 가로변과 주변으로 열린 놀이터

놀이터 (지상1층)

대지 주변과 독립된 공간이지만, 그 경계에는 마을의 풍경이 담겨 있다. 놀이터를 감싸고 있는 외피는 비가 올때는 우산이 되고, 햇빛을 조절하는 차양이 되고, 마을을 바라보는 창이 된다.

유희실 (지상1층~지상2층)

놀이터에서 들어오면 폭 2.1m의 유희실 있고, 계단을 통해 2층까지 확장되며, 각 보육실을 잇는다. 그리고 높은 창에서 쏟아지는 햇살로 가득한 유희실은 어린이들의 도서관이 된다.

보육실 3세반 (지상2층)

보육실 4∙5세반 (지상2층)

장난감도서관 (지하1층)

별도 출입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다목적강당으로도 활용한다.

계단

창 너머 놀이터, 외피 너머 마을이 내려다 보이고, 소통도 이루어진다.

6

5

4

3

2

1

1

2

3

4

5

6

배치도

1. 어린이집

2. 김중업 건축문화의 집

3. 조경

4. 어린이집

5. 장난감도서관

6. 주차장

6

5

4

3

2

1

1

2

3

4

5

6

배치도

1. 어린이집

2. 김중업 건축문화의 집

3. 조경

4. 어린이집

5. 장난감도서관

6. 주차장

6

5

4

3

2

1

1

2

3

4

5

6

배치도

1. 어린이집

2. 김중업 건축문화의 집

3. 조경

4. 어린이집

5. 장난감도서관

6. 주차장

배치도

1. 어린이집

2. 김중업 건축문화의 집

3. 조경

4. 어린이집

5. 장난감도서관

6. 주차장

8

7

6

5

4

3

3

2

1

1

2

3

3

4

5

6

7

8

지하1층 평면도

1. 커뮤니티 마당

2. 주차장

3. 현관

4. 원장실

5. 장난감도서관

6. 기계실

7. 창고

8. 빗물이용시설

8

7

6

5

4

3

3

2

1

1

2

3

3

4

5

6

7

8

지하1층 평면도

1. 커뮤니티 마당

2. 주차장

3. 현관

4. 원장실

5. 장난감도서관

6. 기계실

7. 창고

8. 빗물이용시설

8

7

6

5

4

3

3

2

1

1

2

3

3

4

5

6

7

8

지하1층 평면도

1. 커뮤니티 마당

2. 주차장

3. 현관

4. 원장실

5. 장난감도서관

6. 기계실

7. 창고

8. 빗물이용시설

지하1층 평면도

1. 커뮤니티 마당

2. 주차장

3. 현관

4. 원장실

5. 장난감도서관

6. 기계실

7. 창고

8. 빗물이용시설

5

4

3

3

3

2

1

1

2

3

3

3

4

5

지상1층 평면도

1. 놀이터

2. 유희실

3. 보육실

4. 세탁실

5. 조리실

5

4

3

3

3

2

1

1

2

3

3

3

4

5

지상1층 평면도

1. 놀이터

2. 유희실

3. 보육실

4. 세탁실

5. 조리실

5

4

3

3

3

2

1

1

2

3

3

3

4

5

지상1층 평면도

1. 놀이터

2. 유희실

3. 보육실

4. 세탁실

5. 조리실

지상1층 평면도

1. 놀이터

2. 유희실

3. 보육실

4. 세탁실

5. 조리실

5

4

3

3

2

1

1

2

3

3

4

5

지상2층 평면도

1. 놀이터

2. 유희실

3. 보육실

4. 교사실

5. 옥외데크

5

4

3

3

2

1

1

2

3

3

4

5

지상2층 평면도

1. 놀이터

2. 유희실

3. 보육실

4. 교사실

5. 옥외데크

5

4

3

3

2

1

1

2

3

3

4

5

지상2층 평면도

1. 놀이터

2. 유희실

3. 보육실

4. 교사실

5. 옥외데크

지상2층 평면도

1. 놀이터

2. 유희실

3. 보육실

4. 교사실

5. 옥외데크

5

5

5

4

3

1

2

2

1

3

4

5

5

5

단면도1

1. 놀이터

2. 커뮤니티 마당

3. 기계실

4. 창고

5. 보육실

5

5

5

4

3

1

2

2

1

3

4

5

5

5

단면도1

1. 놀이터

2. 커뮤니티 마당

3. 기계실

4. 창고

5. 보육실

5

5

5

4

3

1

2

2

1

3

4

5

5

5

단면도1

1. 놀이터

2. 커뮤니티 마당

3. 기계실

4. 창고

5. 보육실

단면도1

1. 놀이터

2. 커뮤니티 마당

3. 기계실

4. 창고

5. 보육실

7

6

5

4

4

3

2

1

1

2

3

4

4

5

6

7

단면도2

1. 놀이터

2. 현관

3. 장난감도서관

4. 유희실

5. 유아용화장실

6. 창고

7. 교사실

7

6

5

4

4

3

2

1

1

2

3

4

4

5

6

7

단면도2

1. 놀이터

2. 현관

3. 장난감도서관

4. 유희실

5. 유아용화장실

6. 창고

7. 교사실

7

6

5

4

4

3

2

1

1

2

3

4

4

5

6

7

단면도2

1. 놀이터

2. 현관

3. 장난감도서관

4. 유희실

5. 유아용화장실

6. 창고

7. 교사실

단면도2

1. 놀이터

2. 현관

3. 장난감도서관

4. 유희실

5. 유아용화장실

6. 창고

7. 교사실

4

4

3

2

1

1

2

3

4

4

단면도3

1. 놀이터

2. 주차장

3. 장난감도서관

4. 보육실

4

4

3

2

1

1

2

3

4

4

단면도3

1. 놀이터

2. 주차장

3. 장난감도서관

4. 보육실

4

4

3

2

1

1

2

3

4

4

단면도3

1. 놀이터

2. 주차장

3. 장난감도서관

4. 보육실

단면도3

1. 놀이터

2. 주차장

3. 장난감도서관

4. 보육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