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호3동 구립어린이집

Chunho3-dong Daycare Center

위치 : 서울특별시 강동구 성안로31마길 9

기간 : 2017.10 ~ 2018.5

용도 : 노유자시설 (어린이집)

면적 : 349.05㎡

규모 : 지상3층

설계 : 문경진

협력 : 터구조(구조) / 정인토목(토목) / 극동전기(전기) / 타임테크(기계)

시공 : 신양건설

사진 : 조경민

천호3동 구립어린이집

Chunho3-dong Daycare Center

위치 : 서울특별시 강동구 성안로31마길 9

기간 : 2017.10 ~ 2018.5

용도 : 노유자시설 (어린이집)

면적 : 349.05㎡

규모 : 지상3층

설계 : 문경진

협력 : 터구조(구조) / 정인토목(토목) / 극동전기(전기) / 타임테크(기계)

시공 : 신양건설

사진 : 조경민

천호3동 구립어린이집

Chunho3-dong Daycare Center

위치 : 서울특별시 강동구 성안로31마길 9

기간 : 2017.10 ~ 2018.5

용도 : 노유자시설 (어린이집)

면적 : 349.05㎡

규모 : 지상3층

설계 : 문경진

협력 : 터구조(구조) / 정인토목(토목) / 극동전기(전기) / 타임테크(기계)

시공 : 신양건설

사진 : 조경민

비정형 대지에서 매스 만들기

천호도서관을 짓는 과정에서 기존 단독주택에 균열이 발생하여, 강동구는 해당부지를 매입하고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어린이집을 짓게 된다.

하지만 진입도로에 비해 대지 안쪽은 1개층 정도 높이가 낮으며, 대지형태는 비정형으로 어린이집을 짓기에 부적합한 대지이다.

어린이들이 생활하기에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1. 채광과 환기에 제한이 없는 보육환경을 조성하고,

2. 대지형태를 고려하면서도 충분한 보육면적을 확보해야 한다.

비정형 대지에서 매스 만들기

천호도서관을 짓는 과정에서 기존 단독주택에 균열이 발생하여, 강동구는 해당부지를 매입하고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어린이집을 짓게 된다.

하지만 진입도로에 비해 대지 안쪽은 1개층 정도 높이가 낮으며, 대지형태는 비정형으로 어린이집을 짓기에 부적합한 대지이다.

어린이들이 생활하기에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1. 채광과 환기에 제한이 없는 보육환경을 조성하고,

2. 대지형태를 고려하면서도 충분한 보육면적을 확보해야 한다.

설계과정

1. 대지현황

대지는 저층 고밀도의 일반주거지역에 위치하고, 대지 동측으로 공영주차장(천호도서관)이 인접하며, 대지 안쪽은 진입도로에 비해 높이가 2.5m 정도 낮다. 채광∙환기∙소음 등 여러 측면에서 환경이 열악하다.

2. 지상층 최대 확보

경사지의 가중평균 높이와 정북일조에 의한 높이제한 사이에서, 지상층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매스를 설정한다.

3. 외부공간 연계

협소한 대지에서 외부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대지와 닿은 부분의 매스를 조절한다. 출입구 인근에는 승하차 및 대기공간을, 대지 북측에는 주차장을, 대지 안쪽에는 비상대피로를 계획한다.

4. 공간계획

복도와 계단을 중심으로, 보육영역은 남측에, 지원영역은 북측에 배치한다.

5. 동선계획

주출입구 인근에 장애인승강기와 계단을, 주출입구 반대편에 비상계단을 배치한다. 양방향 피난이 가능한 안전한 보육환경을 조성한다.

6. 주변환경에 대응하는 5개 입면

남측은 거실의 채광을 위한 창으로, 동∙서측은 소음 차단을 위한 벽으로, 북측은 지원시설의 환기를 위한 창으로, 하늘은 옥상놀이터로 대응한다.

설계과정

1. 대지현황

대지는 저층 고밀도의 일반주거지역에 위치하고, 대지 동측으로 공영주차장(천호도서관)이 인접하며, 대지 안쪽은 진입도로에 비해 높이가 2.5m 정도 낮다. 채광∙환기∙소음 등 여러 측면에서 환경이 열악하다.

2. 지상층 최대 확보

경사지의 가중평균 높이와 정북일조에 의한 높이제한 사이에서, 지상층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매스를 설정한다.

3. 외부공간 연계

협소한 대지에서 외부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대지와 닿은 부분의 매스를 조절한다. 출입구 인근에는 승하차 및 대기공간을, 대지 북측에는 주차장을, 대지 안쪽에는 비상대피로를 계획한다.

4. 공간계획

복도와 계단을 중심으로, 보육영역은 남측에, 지원영역은 북측에 배치한다.

5. 동선계획

주출입구 인근에 장애인승강기와 계단을, 주출입구 반대편에 비상계단을 배치한다. 양방향 피난이 가능한 안전한 보육환경을 조성한다.

6. 주변환경에 대응하는 5개 입면

남측은 거실의 채광을 위한 창으로, 동∙서측은 소음 차단을 위한 벽으로, 북측은 지원시설의 환기를 위한 창으로, 하늘은 옥상놀이터로 대응한다.

가로의 축과 건물의 축, 그 사이의 진입공간

복도 (지상2층)

지상2층 출입구로 들어가면 복도가 나타난다. 폭 1.5m 이상의 복도와 책장은 어린이들의 놀이터와 도서관이 된다.

보육실 0세반 (지상2층)

보육실 0세반은 출입구와 가장 가까운 곳에 있다.

보육실 1세반 (지상1층)

보육실 1세반은 지면과 맞닿은 곳에 있다.

보육실 2세반 (지상3층)

보육실 2세반은 옥상놀이터 아래에 있다.

내부계단

옥상놀이터에 쏟아지는 햇살은 내부계단을 통해 복도로 흘러 들어온다.

발코니 (지상2층)

좁지만, 교사들이 잠시 쉬어갈 수 있는 공간이다.

비상계단

비상계단이 각 층은 물론, 옥상놀이터에서 1층 텃밭까지 연결된다. 영롱쌓기 벽돌로 계단을 감싸 안아 시선은 조절하되 채광은 가능하게 하여, 안전하고 밝은 환경을 조성한다.

텃밭 (지상1층)

비상계단을 따라 내려오면, 대지 안쪽 1층 텃밭에 도착한다. 공영주차장(천호도서관)의 담장 너머 조경과 텃밭은 어린이들의 작은 공원이 된다.

3

2

1

4

4

1

2

3

배치도

1. 옥상놀이터

2. 천호도서관

3. 조경

4. 주출입구

3

2

1

4

4

1

2

3

배치도

1. 옥상놀이터

2. 천호도서관

3. 조경

4. 주출입구

3

2

1

4

4

1

2

3

배치도

1. 옥상놀이터

2. 천호도서관

3. 조경

4. 주출입구

배치도

1. 옥상놀이터

2. 천호도서관

3. 조경

4. 주출입구

지상1층 평면도

1. 복도

2. 보육실 1세반

3. 기계실

4. 비상계단

5. 조경

4

5

4

2

2

1

3

2

2

1

4

5

3

지상1층 평면도

1. 복도

2. 보육실 1세반

3. 기계실

4. 비상계단

5. 조경

4

5

4

2

2

1

3

2

2

1

4

5

3

지상1층 평면도

1. 복도

2. 보육실 1세반

3. 기계실

4. 비상계단

5. 조경

4

1

5

2

2

3

3

2

2

1

4

5

3

지상1층 평면도

1. 복도

2. 보육실 1세반

3. 기계실

4. 비상계단

5. 조경

4

3

5

2

5

1

7

7

지상2층 평면도

1. 현관

2. 복도

3. 원장실

4. 조리실

5. 보육실 0세반

6. 비상계단

7. 주차장

2

5

5

4

3

7

7

1

6

6

6

4

3

5

2

5

1

7

7

지상2층 평면도

1. 현관

2. 복도

3. 원장실

4. 조리실

5. 보육실 0세반

6. 비상계단

7. 주차장

2

5

5

4

3

7

7

1

6

6

6

2

5

5

4

3

7

7

1

지상2층 평면도

1. 현관

2. 복도

3. 원장실

4. 조리실

5. 보육실 0세반

6. 비상계단

7. 주차장

2

5

5

4

3

7

7

1

4

6

6

지상2층 평면도

1. 현관

2. 복도

3. 원장실

4. 조리실

5. 보육실 0세반

6. 비상계단

7. 주차장

2

3

3

1

5

4

4

1

3

3

2

5

4

지상3층 평면도

1. 복도

2. 교사실

3. 보육실 2세반

4. 비상계단

5. 발코니

2

3

3

1

5

4

4

1

3

3

2

5

4

지상3층 평면도

1. 복도

2. 교사실

3. 보육실 2세반

4. 비상계단

5. 발코니

1

3

3

2

5

5

4

1

3

3

2

5

4

지상3층 평면도

1. 복도

2. 교사실

3. 보육실 2세반

4. 비상계단

5. 발코니

지상3층 평면도

1. 복도

2. 교사실

3. 보육실 2세반

4. 비상계단

5. 발코니

2

1

3

3

1

2

3

옥탑층 평면도

1. 옥상놀이터

2. 실외기

3. 비상계단

2

1

3

3

1

2

3

옥탑층 평면도

1. 옥상놀이터

2. 실외기

3. 비상계단

1

1

2

3

1

2

3

옥탑층 평면도

1. 옥상놀이터

2. 실외기

3. 비상계단

옥탑층 평면도

1. 옥상놀이터

2. 실외기

3. 비상계단

2

2

6

2

7

4

5

5

5

5

5

3

5

5

7

1

7

6

5

5

5

5

4

3

2

2

2

1

종단면도

1. 현관

2. 복도

3. 장애인화장실

4. 보육실 2세반

5. 비상계단

6. 옥상놀이터

7. 실외기

2

2

6

2

7

4

5

5

5

5

5

3

5

5

7

1

7

6

5

5

5

5

4

3

2

2

2

1

종단면도

1. 현관

2. 복도

3. 장애인화장실

4. 보육실 2세반

5. 비상계단

6. 옥상놀이터

7. 실외기

2

2

6

2

7

6

5

5

5

5

4

3

2

2

2

1

7

6

5

5

5

5

4

3

2

2

2

1

종단면도

1. 현관

2. 복도

3. 장애인화장실

4. 보육실 2세반

5. 비상계단

6. 옥상놀이터

7. 실외기

종단면도

1. 현관

2. 복도

3. 장애인화장실

4. 보육실 2세반

5. 비상계단

6. 옥상놀이터

7. 실외기

1

1

8

1

8

7

6

5

4

3

7

6

5

2

8

7

6

5

4

3

1

1

1

2

횡단면도

1. 복도

2. 기계실

3. 조리실

4. 교사실

5. 보육실 1세반

6. 보육실 0세반

7. 보육실 2세반

8. 옥상놀이터

1

1

8

1

8

7

6

5

4

3

7

6

5

2

8

7

6

5

4

3

1

1

1

2

횡단면도

1. 복도

2. 기계실

3. 조리실

4. 교사실

5. 보육실 1세반

6. 보육실 0세반

7. 보육실 2세반

8. 옥상놀이터

1

1

8

1

8

7

6

5

4

3

1

1

1

2

8

7

6

5

4

3

1

1

1

2

횡단면도

1. 복도

2. 기계실

3. 조리실

4. 교사실

5. 보육실 1세반

6. 보육실 0세반

7. 보육실 2세반

8. 옥상놀이터

횡단면도

1. 복도

2. 기계실

3. 조리실

4. 교사실

5. 보육실 1세반

6. 보육실 0세반

7. 보육실 2세반

8. 옥상놀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