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동구립 해공노인복지관
Haegong Senior Care Center
기간 : 2019.5 ~ 2020.1
용도 : 노유자시설 (노인복지관, 어린이집)
면적 : 1,441.38㎡
규모 : 지상4층 / 지하1층
설계 : 문경진, 김령아
협력 : 터구조(구조) / 정인토목(토목) / 하나기연(전기) / 타임테크(기계)
시공 : 임원개발
사진 : Distinto

강동구립 해공노인복지관
Haegong Senior Care Center
기간 : 2019.5 ~ 2020.1
용도 : 노유자시설 (노인복지관, 어린이집)
면적 : 1,441.38㎡
규모 : 지상4층 / 지하1층
설계 : 문경진, 김령아
협력 : 터구조(구조) / 정인토목(토목) / 하나기연(전기) / 타임테크(기계)
시공 : 임원개발
사진 : Distinto

강동구립 해공노인복지관
Haegong Senior Care Center
기간 : 2019.5 ~ 2020.1
용도 : 노유자시설 (노인복지관, 어린이집)
면적 : 1,441.38㎡
규모 : 지상4층 / 지하1층
설계 : 문경진, 김령아
협력 : 터구조(구조) / 정인토목(토목) / 하나기연(전기) / 타임테크(기계)
시공 : 임원개발
사진 : Distinto


밀집된 주거지역에서 커뮤니티 장소 만들기
강동구립 해공노인복지관 증축설계는 기존 해공노인복지관 옆에 있는 어린이집과 주민자치회관을 철거한 부지에, 신관을 증축하는 프로젝트이다.
대상지는 천호동의 주거밀집지역에 위치하고, 북측의 골목을 통해 출입한다.
밀집한 주거지역에서
1. 노인과 어린이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과
2. 내외부공간을 연계해서 공간을 넓게 쓰는 것이
설계의 핵심이다.
강동구립 해공노인복지관 증축설계는 기존 해공노인복지관 옆에 있는 어린이집과 주민자치회관을 철거한 부지에, 신관을 증축하는 프로젝트이다.
대상지는 천호동의 주거밀집지역에 위치하고, 북측의 골목을 통해 출입한다.
밀집한 주거지역에서
1. 노인과 어린이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과
2. 내외부공간을 연계해서 공간을 넓게 쓰는 것이
설계의 핵심이다.

밀집된 주거지역에서 커뮤니티 장소 만들기
강동구립 해공노인복지관 증축설계는 기존 해공노인복지관 옆에 있는 어린이집과 주민자치회관을 철거한 부지에, 신관을 증축하는 프로젝트이다.
대상지는 천호동의 주거밀집지역에 위치하고, 북측의 골목을 통해 출입한다.
밀집한 주거지역에서
1. 노인과 어린이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과
2. 내외부공간을 연계해서 공간을 넓게 쓰는 것이
설계의 핵심이다.
1. 대지현황 분석
2. 출입동선 선정
3. 가용면적 확보
4. 내∙외부공간 연계
5. 조화를 고려한 입면
6. 하나가 되는 노인복지관
1. 대지현황 분석
2. 출입동선 선정
3. 가용면적 확보
4. 내∙외부공간 연계
5. 조화를 고려한 입면
6. 하나가 되는 노인복지관
1. 대지현황 분석
2. 출입동선 선정
3. 가용면적 확보
4. 내∙외부공간 연계
5. 조화를 고려한 입면
6. 하나가 되는 노인복지관
설계과정
1. 대지현황 분석
대지에는 크게 2가지 문제점이 있다. 구관 전면 주차장으로 인해, 어르신의 보행환경이 위협받는다는 점과, 신관을 증축할 경우 구관과 신관의 협소한 간격으로 인해, 환기나 채광 등 생활환경이 열악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2. 출입동선 선정
보차분리를 통해,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한다.
3. 가용면적 확보
구관의 위치와 정북일조 사선 등 제한요소를 고려하여, 요구되는 프로그램을 담기 위한 가용면적을 최대한 확보한다.
4. 내∙외부공간 연계
내∙외부공간을 적극적으로 연계해서 밀집도가 높은 공간에 여유를 마련한다. 1층 출입구↔︎마을쉼터, 3층 작은도서관↔︎중정, 3층 사무실↔︎휴게테라스, 옥상 건강쉼터
5. 조화를 고려한 입면
구관의 정면과 동일한 크기와 간격으로 창호를 배치하여, 가로경관에서 구관과 신관의 조화를 고려한다.
6. 하나가 되는 노인복지관
구관과 신관이 맞닿은 부분의 3층에 중정을 계획한다. 향후 연결통로를 증축하는 등, 두 건물을 하나로 활용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놓는다.
1. 대지현황 분석
대지에는 크게 2가지 문제점이 있다. 구관 전면 주차장으로 인해, 어르신의 보행환경이 위협받는다는 점과, 신관을 증축할 경우 구관과 신관의 협소한 간격으로 인해, 환기나 채광 등 생활환경이 열악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2. 출입동선 선정
보차분리를 통해,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한다.
3. 가용면적 확보
구관의 위치와 정북일조 사선 등 제한요소를 고려하여, 요구되는 프로그램을 담기 위한 가용면적을 최대한 확보한다.
4. 내∙외부공간 연계
내∙외부공간을 적극적으로 연계해서 밀집도가 높은 공간에 여유를 마련한다. 1층 출입구↔︎마을쉼터, 3층 작은도서관↔︎중정, 3층 사무실↔︎휴게테라스, 옥상 건강쉼터
5. 조화를 고려한 입면
구관의 정면과 동일한 크기와 간격으로 창호를 배치하여, 가로경관에서 구관과 신관의 조화를 고려한다.
6. 하나가 되는 노인복지관
구관과 신관이 맞닿은 부분의 3층에 중정을 계획한다. 향후 연결통로를 증축하는 등, 두 건물을 하나로 활용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놓는다.
1. 대지현황 분석
2. 출입동선 선정
3. 가용면적 확보
4. 내∙외부공간 연계
5. 조화를 고려한 입면
6. 하나가 되는 노인복지관
1. 대지현황 분석
2. 출입동선 선정
3. 가용면적 확보
4. 내∙외부공간 연계
5. 조화를 고려한 입면
6. 하나가 되는 노인복지관
1. 대지현황 분석
2. 출입동선 선정
3. 가용면적 확보
4. 내∙외부공간 연계
5. 조화를 고려한 입면
6. 하나가 되는 노인복지관
설계과정
1. 대지현황 분석
대지에는 크게 2가지 문제점이 있다. 구관 전면 주차장으로 인해, 어르신의 보행환경이 위협받는다는 점과, 신관을 증축할 경우 구관과 신관의 협소한 간격으로 인해, 환기나 채광 등 생활환경이 열악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2. 출입동선 선정
보차분리를 통해,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한다.
3. 가용면적 확보
구관의 위치와 정북일조 사선 등 제한요소를 고려하여, 요구되는 프로그램을 담기 위한 가용면적을 최대한 확보한다.
4. 내∙외부공간 연계
내∙외부공간을 적극적으로 연계해서 밀집도가 높은 공간에 여유를 마련한다. 1층 출입구↔︎마을쉼터, 3층 작은도서관↔︎중정, 3층 사무실↔︎휴게테라스, 옥상 건강쉼터
5. 조화를 고려한 입면
구관의 정면과 동일한 크기와 간격으로 창호를 배치하여, 가로경관에서 구관과 신관의 조화를 고려한다.
6. 하나가 되는 노인복지관
구관과 신관이 맞닿은 부분의 3층에 중정을 계획한다. 향후 연결통로를 증축하는 등, 두 건물을 하나로 활용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놓는다.


구관과 신관, 구분되지만 조화를 이루는 입면

구관과 신관, 구분되지만 조화를 이루는 입면


마을카페 (지상1층, 구관)
구관 1층에 있던 사무실을 신관 3층으로 이전하고, 마을카페를 조성한다.

마을카페 (지상1층, 구관)
구관 1층에 있던 사무실을 신관 3층으로 이전하고, 마을카페를 조성한다.


가족쉼터 (지상1층, 신관)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할아버지와 할머니,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부모, 온 가족이 만나는 장소이다.

가족쉼터 (지상1층, 신관)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할아버지와 할머니,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부모, 온 가족이 만나는 장소이다.


어린이집 (지상1층, 신관)

어린이집 (지상1층, 신관)


키즈카페 (지상2층, 신관)
어린이집 하원 이후, 어린이들이 뛰어 놀며 보호자를 기다리는 장소이다.

키즈카페 (지상2층, 신관)
어린이집 하원 이후, 어린이들이 뛰어 놀며 보호자를 기다리는 장소이다.


다목적강당 (지상2층, 신관)

다목적강당 (지상2층, 신관)


작은도서관 (지상3층, 신관)
철거한 주민자치회관 2층에 있던 작은도서관을 중정에 인접하여 배치한다. 중정을 거쳐, 작은도서관으로 햇살이 들어온다.

작은도서관 (지상3층, 신관)
철거한 주민자치회관 2층에 있던 작은도서관을 중정에 인접하여 배치한다. 중정을 거쳐, 작은도서관으로 햇살이 들어온다.


중정 (지상3층, 신관)
신관과 맞닿은 구관의 3층에는 프로그램실이, 4층에는 데이케어실이 있다. 두 건물의 환기와 채광을 위해, 중정으로 공간을 비운다. 향후 구관으로 연결되는 통로를 증축하면, 노인복지관 커뮤니티의 중심이 된다.

중정 (지상3층, 신관)
신관과 맞닿은 구관의 3층에는 프로그램실이, 4층에는 데이케어실이 있다. 두 건물의 환기와 채광을 위해, 중정으로 공간을 비운다. 향후 구관으로 연결되는 통로를 증축하면, 노인복지관 커뮤니티의 중심이 된다.








연결통로 (지상3층, 2023.9.)
구관 3층의 프로그램실과 원장실, 신관 3층의 작은도서관과 사무실이 같은 높이에서 연결된다.

연결통로 (지상3층, 2023.9.)
구관 3층의 프로그램실과 원장실, 신관 3층의 작은도서관과 사무실이 같은 높이에서 연결된다.


휴게테라스 (지상3층, 신관)
사무실과 휴게실 남측에 직원들이 쉴 수 있는 장소를 배치한다. 햇볕이 잘 들고 마을이 내려다보이는 휴게테라스이다.

휴게테라스 (지상3층, 신관)
사무실과 휴게실 남측에 직원들이 쉴 수 있는 장소를 배치한다. 햇볕이 잘 들고 마을이 내려다보이는 휴게테라스이다.


옥상정원 (옥탑층, 신관)

옥상정원 (옥탑층, 신관)


어두운 골목을 밝히는 노인복지관의 계단실

어두운 골목을 밝히는 노인복지관의 계단실

2
3
1
▼
▼
▼
4
5
6
6
5
4
▼
▼
▼
1
3
2
배치
1. 구관
2. 신관
3. 마을쉼터
4. 구관 출입구
5. 신관 출입구
6. 주차장 출입구

2
3
1
▼
▼
▼
4
5
6
6
5
4
▼
▼
▼
1
3
2
배치
1. 구관
2. 신관
3. 마을쉼터
4. 구관 출입구
5. 신관 출입구
6. 주차장 출입구
배치
1. 구관
2. 신관
3. 마을쉼터
4. 구관 출입구
5. 신관 출입구
6. 주차장 출입구

2
3
1
▼
▼
▼
4
5
6
6
5
4
▼
▼
▼
1
3
2
배치
1. 구관
2. 신관
3. 마을쉼터
4. 구관 출입구
5. 신관 출입구
6. 주차장 출입구
배치
1. 구관
2. 신관
3. 마을쉼터
4. 구관 출입구
5. 신관 출입구
6. 주차장 출입구

2
3
1
4
4
1
3
2
지하1층 평면도
1. 주차장
2. 기계실
3. 방재실
4. 주차장 경사로

2
3
1
4
4
1
3
2
지하1층 평면도
1. 주차장
2. 기계실
3. 방재실
4. 주차장 경사로
지하1층 평면도
1. 주차장
2. 기계실
3. 방재실
4. 주차장 경사로

2
3
1
4
4
1
3
2
지하1층 평면도
1. 주차장
2. 기계실
3. 방재실
4. 주차장 경사로
지하1층 평면도
1. 주차장
2. 기계실
3. 방재실
4. 주차장 경사로

1
2
5
3
4
6
6
4
3
5
2
1
지상1층 평면도
1. 가족쉼터
2. 어린이집
3. 승강식 피난기
4. 마을카페
5. 마을쉼터
6. 주차장 경사로

1
2
5
3
4
6
6
4
3
5
2
1
지상1층 평면도
1. 가족쉼터
2. 어린이집
3. 승강식 피난기
4. 마을카페
5. 마을쉼터
6. 주차장 경사로
지상1층 평면도
1. 가족쉼터
2. 어린이집
3. 승강식 피난기
4. 마을카페
5. 마을쉼터
6. 주차장 경사로

1
2
5
3
4
6
6
4
3
5
2
1
지상1층 평면도
1. 가족쉼터
2. 어린이집
3. 승강식 피난기
4. 마을카페
5. 마을쉼터
6. 주차장 경사로
지상1층 평면도
1. 가족쉼터
2. 어린이집
3. 승강식 피난기
4. 마을카페
5. 마을쉼터
6. 주차장 경사로

1
2
3
3
2
1
지상2층 평면도
1. 대강당
2. 키즈카페
3. 승강식 피난기

1
2
3
3
2
1
지상2층 평면도
1. 대강당
2. 키즈카페
3. 승강식 피난기
지상2층 평면도
1. 대강당
2. 키즈카페
3. 승강식 피난기

1
2
3
3
2
1
지상2층 평면도
1. 대강당
2. 키즈카페
3. 승강식 피난기
지상2층 평면도
1. 대강당
2. 키즈카페
3. 승강식 피난기

1
2
4
5
3
3
5
4
2
1
지상3층 평면도
1. 작은도서관
2. 사무실
3. 중정
4. 휴게테라스
5. 승강식 피난기

1
2
4
5
3
3
5
4
2
1
지상3층 평면도
1. 작은도서관
2. 사무실
3. 중정
4. 휴게테라스
5. 승강식 피난기
지상3층 평면도
1. 작은도서관
2. 사무실
3. 중정
4. 휴게테라스
5. 승강식 피난기

1
2
4
5
3
3
5
4
2
1
지상3층 평면도
1. 작은도서관
2. 사무실
3. 중정
4. 휴게테라스
5. 승강식 피난기
지상3층 평면도
1. 작은도서관
2. 사무실
3. 중정
4. 휴게테라스
5. 승강식 피난기

1
2
2
3
3
3
2
2
1
지상4층 평면도
1. 중강당
2. 프로그램실
3. 승강식 피난기

1
2
2
3
3
3
2
2
1
지상4층 평면도
1. 중강당
2. 프로그램실
3. 승강식 피난기
지상4층 평면도
1. 중강당
2. 프로그램실
3. 승강식 피난기

1
2
2
3
3
3
2
2
1
지상4층 평면도
1. 중강당
2. 프로그램실
3. 승강식 피난기
지상4층 평면도
1. 중강당
2. 프로그램실
3. 승강식 피난기

1
2
3
3
2
1
옥탑층 평면도
1. 옥상정원
2. 옥상텃밭
3. 실외기

1
2
3
3
2
1
옥탑층 평면도
1. 옥상정원
2. 옥상텃밭
3. 실외기
옥탑층 평면도
1. 옥상정원
2. 옥상텃밭
3. 실외기

1
2
3
3
2
1
옥탑층 평면도
1. 옥상정원
2. 옥상텃밭
3. 실외기
옥탑층 평면도
1. 옥상정원
2. 옥상텃밭
3. 실외기

1
3
4
6
10
9
2
5
7
8
종단면도
1. 주차장
2. 가족쉼터
3. 어린이집
4. 다목적강당
5. 작은도서관
6. 중정
7. 사무실
8. 중강당
9. 프로그램실
10. 옥상정원
8
7
5
2
9
10
6
4
3
1

1
3
4
6
10
9
2
5
7
8
종단면도
1. 주차장
2. 가족쉼터
3. 어린이집
4. 다목적강당
5. 작은도서관
6. 중정
7. 사무실
8. 중강당
9. 프로그램실
10. 옥상정원
8
7
5
2
9
10
6
4
3
1
종단면도
1. 주차장
2. 가족쉼터
3. 어린이집
4. 다목적강당
5. 작은도서관
6. 중정
7. 사무실
8. 중강당
9. 프로그램실
10. 옥상정원

1
3
4
6
10
9
2
5
7
8
종단면도
1. 주차장
2. 가족쉼터
3. 어린이집
4. 다목적강당
5. 작은도서관
6. 중정
7. 사무실
8. 중강당
9. 프로그램실
10. 옥상정원
8
7
5
2
9
10
6
4
3
1
종단면도
1. 주차장
2. 가족쉼터
3. 어린이집
4. 다목적강당
5. 작은도서관
6. 중정
7. 사무실
8. 중강당
9. 프로그램실
10. 옥상정원

1
2
3
4
5
7
8
9
10
6
횡단면도
1. 주차장
2. 어린이집
3. 다목적강당
4. 중정
5. 옥상정원
6. 식당
7. 마을카페
8. 강당
9. 프로그램실
10. 데이케어실
10
9
8
7
5
4
3
2
1
6

1
2
3
4
5
7
8
9
10
6
횡단면도
1. 주차장
2. 어린이집
3. 다목적강당
4. 중정
5. 옥상정원
6. 식당
7. 마을카페
8. 강당
9. 프로그램실
10. 데이케어실
10
9
8
7
5
4
3
2
1
7
횡단면도
1. 주차장
2. 어린이집
3. 다목적강당
4. 중정
5. 옥상정원
6. 식당
7. 마을카페
8. 강당
9. 프로그램실
10. 데이케어실

1
2
3
4
5
7
8
9
10
6
횡단면도
1. 주차장
2. 어린이집
3. 다목적강당
4. 중정
5. 옥상정원
6. 식당
7. 마을카페
8. 강당
9. 프로그램실
10. 데이케어실
10
9
8
7
5
4
3
2
1
6
횡단면도
1. 주차장
2. 어린이집
3. 다목적강당
4. 중정
5. 옥상정원
6. 식당
7. 마을카페
8. 강당
9. 프로그램실
10. 데이케어실



밀집된 주거지역에서 커뮤니티 장소 만들기
강동구립 해공노인복지관 증축설계는 기존 해공노인복지관 옆에 있는 어린이집과 주민자치회관을 철거한 부지에, 신관을 증축하는 프로젝트이다.
대상지는 천호동의 주거밀집지역에 위치하고, 북측의 골목을 통해 출입한다.
밀집한 주거지역에서
1. 노인과 어린이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과
2. 내외부공간을 연계해서 공간을 넓게 쓰는 것이
설계의 핵심이다.
밀집된 주거지역에서 커뮤니티 장소 만들기
강동구립 해공노인복지관 증축설계는 기존 해공노인복지관 옆에 있는 어린이집과 주민자치회관을 철거한 부지에, 신관을 증축하는 프로젝트이다.
대상지는 천호동의 주거밀집지역에 위치하고, 북측의 골목을 통해 출입한다.
밀집한 주거지역에서
1. 노인과 어린이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과
2. 내외부공간을 연계해서 공간을 넓게 쓰는 것이
설계의 핵심이다.
Connect to Content
Add layers or components to swipe between.
Connect to Content
Add layers or components to swipe between.
설계과정
1. 대지현황 분석
대지에는 크게 2가지 문제점이 있다. 구관 전면 주차장으로 인해, 어르신의 보행환경이 위협받는다는 점과, 신관을 증축할 경우 구관과 신관의 협소한 간격으로 인해, 환기나 채광 등 생활환경이 열악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2. 출입동선 선정
보차분리를 통해,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한다.
3. 가용면적 확보
구관의 위치와 정북일조 사선 등 제한요소를 고려하여, 요구되는 프로그램을 담기 위한 가용면적을 최대한 확보한다.
4. 내∙외부공간 연계
내∙외부공간을 적극적으로 연계해서 밀집도가 높은 공간에 여유를 마련한다. 1층 출입구↔︎마을쉼터, 3층 작은도서관↔︎중정, 3층 사무실↔︎휴게테라스, 옥상 건강쉼터
5. 조화를 고려한 입면
구관의 정면과 동일한 크기와 간격으로 창호를 배치하여, 가로경관에서 구관과 신관의 조화를 고려한다.
6. 하나가 되는 노인복지관
구관과 신관이 맞닿은 부분의 3층에 중정을 계획한다. 향후 연결통로를 증축하는 등, 두 건물을 하나로 활용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놓는다.
설계과정
1. 대지현황 분석
대지에는 크게 2가지 문제점이 있다. 구관 전면 주차장으로 인해, 어르신의 보행환경이 위협받는다는 점과, 신관을 증축할 경우 구관과 신관의 협소한 간격으로 인해, 환기나 채광 등 생활환경이 열악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2. 출입동선 선정
보차분리를 통해,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한다.
3. 가용면적 확보
구관의 위치와 정북일조 사선 등 제한요소를 고려하여, 요구되는 프로그램을 담기 위한 가용면적을 최대한 확보한다.
4. 내∙외부공간 연계
내∙외부공간을 적극적으로 연계해서 밀집도가 높은 공간에 여유를 마련한다. 1층 출입구↔︎마을쉼터, 3층 작은도서관↔︎중정, 3층 사무실↔︎휴게테라스, 옥상 건강쉼터
5. 조화를 고려한 입면
구관의 정면과 동일한 크기와 간격으로 창호를 배치하여, 가로경관에서 구관과 신관의 조화를 고려한다.
6. 하나가 되는 노인복지관
구관과 신관이 맞닿은 부분의 3층에 중정을 계획한다. 향후 연결통로를 증축하는 등, 두 건물을 하나로 활용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놓는다.



구관과 신관, 구분되지만 조화를 이루는 입면



마을카페 (지상1층, 구관)
구관 1층에 있던 사무실을 신관 3층으로 이전하고, 마을카페를 조성한다.



가족쉼터 (지상1층, 신관)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할아버지와 할머니,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린이와 부모, 온 가족이 만나는 장소이다.



어린이집 (지상1층, 신관)



키즈카페 (지상2층, 신관)
어린이집 하원 이후, 어린이들이 뛰어 놀며 보호자를 기다리는 장소이다.



다목적강당 (지상2층, 신관)



작은도서관 (지상3층, 신관)
철거한 주민자치회관 2층에 있던 작은도서관을 중정에 인접하여 배치한다. 중정을 거쳐, 작은도서관으로 햇살이 들어온다.



중정 (지상3층, 신관)
신관과 맞닿은 구관의 3층에는 프로그램실이, 4층에는 데이케어실이 있다. 두 건물의 환기와 채광을 위해, 중정으로 공간을 비운다. 향후 구관으로 연결되는 통로를 증축하면, 노인복지관 커뮤니티의 중심이 된다.



연결통로 (지상3층, 2023.9.)
구관 3층의 프로그램실과 원장실, 신관 3층의 작은도서관과 사무실이 같은 높이에서 연결된다.




3
2
1
4
►
►
4
1
2
3
휴게테라스 (지상3층, 신관)
사무실과 휴게실 남측에 직원들이 쉴 수 있는 장소를 배치한다. 햇볕이 잘 들고 마을이 내려다보이는 휴게테라스이다.

3
2
1
4
►
►
4
1
2
3
휴게테라스 (지상3층, 신관)
사무실과 휴게실 남측에 직원들이 쉴 수 있는 장소를 배치한다. 햇볕이 잘 들고 마을이 내려다보이는 휴게테라스이다.

3
2
1
4
►
►
4
1
2
3
휴게테라스 (지상3층, 신관)
사무실과 휴게실 남측에 직원들이 쉴 수 있는 장소를 배치한다. 햇볕이 잘 들고 마을이 내려다보이는 휴게테라스이다.
휴게테라스 (지상3층, 신관)
사무실과 휴게실 남측에 직원들이 쉴 수 있는 장소를 배치한다. 햇볕이 잘 들고 마을이 내려다보이는 휴게테라스이다.

옥상정원 (옥탑층, 신관)
4
5
4
2
2
1
3
2
2
1
4
5
3

옥상정원 (옥탑층, 신관)
4
5
4
2
2
1
3
2
2
1
4
5
3

옥상정원 (옥탑층, 신관)
4
1
5
2
2
3
3
2
2
1
4
5
3
옥상정원 (옥탑층, 신관)

4
3
5
2
5
1
7
7
어두운 골목을 밝히는 노인복지관의 계단실
2
5
5
4
3
7
7
1
6
6
6

4
3
5
2
5
1
7
7
어두운 골목을 밝히는 노인복지관의 계단실
2
5
5
4
3
7
7
1
6
6
6

2
5
5
4
3
7
7
1
어두운 골목을 밝히는 노인복지관의 계단실
2
5
5
4
3
7
7
1
4
6
6
어두운 골목을 밝히는 노인복지관의 계단실

2
3
3
1
5
4
4
1
3
3
2
5
4
배치
1. 구관
2. 신관
3. 마을쉼터
4. 구관 출입구
5. 신관 출입구
6. 주차장 출입구

2
3
3
1
5
4
4
1
3
3
2
5
4
배치
1. 구관
2. 신관
3. 마을쉼터
4. 구관 출입구
5. 신관 출입구
6. 주차장 출입구

1
3
3
2
5
5
4
1
3
3
2
5
4
배치
1. 구관
2. 신관
3. 마을쉼터
4. 구관 출입구
5. 신관 출입구
6. 주차장 출입구
배치
1. 구관
2. 신관
3. 마을쉼터
4. 구관 출입구
5. 신관 출입구
6. 주차장 출입구

2
1
3
3
1
2
3
지하1층 평면도
1. 주차장
2. 기계실
3. 방재실
4. 주차장 경사로

2
1
3
3
1
2
3
지하1층 평면도
1. 주차장
2. 기계실
3. 방재실
4. 주차장 경사로

1
1
2
3
1
2
3
지하1층 평면도
1. 주차장
2. 기계실
3. 방재실
4. 주차장 경사로
지하1층 평면도
1. 주차장
2. 기계실
3. 방재실
4. 주차장 경사로

2
2
6
2
7
4
5
5
5
5
5
3
5
5
7
1
7
6
5
5
5
5
4
3
2
2
2
1
지상1층 평면도
1. 가족쉼터
2. 어린이집
3. 승강식 피난기
4. 마을카페
5. 마을쉼터
6. 주차장 경사로

2
2
6
2
7
4
5
5
5
5
5
3
5
5
7
1
7
6
5
5
5
5
4
3
2
2
2
1
지상1층 평면도
1. 가족쉼터
2. 어린이집
3. 승강식 피난기
4. 마을카페
5. 마을쉼터
6. 주차장 경사로

2
2
6
2
7
6
5
5
5
5
4
3
2
2
2
1
7
6
5
5
5
5
4
3
2
2
2
1
지상1층 평면도
1. 가족쉼터
2. 어린이집
3. 승강식 피난기
4. 마을카페
5. 마을쉼터
6. 주차장 경사로
지상1층 평면도
1. 가족쉼터
2. 어린이집
3. 승강식 피난기
4. 마을카페
5. 마을쉼터
6. 주차장 경사로

1
1
8
1
8
7
6
5
4
3
7
6
5
2
8
7
6
5
4
3
1
1
1
2
지상2층 평면도
1. 대강당
2. 키즈카페
3. 승강식 피난기

1
1
8
1
8
7
6
5
4
3
7
6
5
2
8
7
6
5
4
3
1
1
1
2
지상2층 평면도
1. 대강당
2. 키즈카페
3. 승강식 피난기

1
1
8
1
8
7
6
5
4
3
1
1
1
2
8
7
6
5
4
3
1
1
1
2
지상2층 평면도
1. 대강당
2. 키즈카페
3. 승강식 피난기
지상2층 평면도
1. 대강당
2. 키즈카페
3. 승강식 피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