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현동 107-11 근린생활시설
Promenade Plantée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107-11
기간 : 2023.11 ~ 2024.3
용도 : 근린생활시설 (사무소)
면적 : 452.89㎡
규모 : 지상4층 / 지하1층
설계 : 문경진, 김령아
협력 : 터구조(구조) / 정인토목(토목) / 대경전기(전기) / 타임테크(기계)
시공 : 일로종합건설
사진 : 아울러건축사사무소

논현동 107-11 근린생활시설
Promenade Plantée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107-11
기간 : 2023.11 ~ 2024.3
용도 : 근린생활시설 (사무소)
면적 : 452.89㎡
규모 : 지상4층 / 지하1층
설계 : 문경진, 김령아
협력 : 터구조(구조) / 정인토목(토목) / 대경전기(전기) / 타임테크(기계)
시공 : 일로종합건설
사진 : 아울러건축사사무소

논현동 107-11 근린생활시설
Promenade Plantée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107-11
기간 : 2023.11 ~ 2024.3
용도 : 근린생활시설 (사무소)
면적 : 452.89㎡
규모 : 지상4층 / 지하1층
설계 : 문경진, 김령아
협력 : 터구조(구조) / 정인토목(토목) / 대경전기(전기) / 타임테크(기계)
시공 : 일로종합건설
사진 : 아울러건축사사무소



기존 건물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 건물 짓기
먼저, 35년 전에 지어진 건물의 대수선을 검토했다.
기존 건물은 위반건축물 양성화를 거쳐, 법정 상한 용적률 200%를 27.7% 초과한 면적을 확보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신축을 하지 않고서는 변화한 환경과 법규에 맞게 조정할 수 없는 요소가 많다.
경사진 도로에 면하여 계단으로만 출입이 가능하고, 주차장이 없어서 접근성이 떨어진다.
건물의 남측 계단에 인접하여 승강기를 설치할 경우, 건물 남측면의 채광이 불가능해진다.
법정 상한 건폐율이 50%에서 60%로 증가하여, 소규모 대지에서 5평의 건축면적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신축 시, 반드시 해결해야할 설계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소규모 대지(대지면적 167.6㎡)에서 전용면적을 최대한 확보한다.
2. 경사진 도로에서 접근하기 편리한 주차구획과 출입구를 확보한다.
3. 기존 건물에서 북서측 모퉁이를 곡면처리한 것처럼, 정면성을 살린다.
기존 건물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 건물 짓기
먼저, 35년 전에 지어진 건물의 대수선을 검토했다.
기존 건물은 위반건축물 양성화를 거쳐, 법정 상한 용적률 200%를 27.7% 초과한 면적을 확보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신축을 하지 않고서는, 변화한 환경과 법규에 맞게 조정할 수 없는 요소가 많다.
경사진 도로에 면하여 계단으로만 출입이 가능하고, 주차장이 없어서 접근성이 떨어진다.
건물의 남측 계단에 인접하여 승강기를 설치할 경우, 건물 남측면의 채광이 불가능해진다.
법정 상한 건폐율이 50%에서 60%로 증가하여, 소규모 대지에서 5평의 건축면적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신축 시, 반드시 해결해야할 설계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소규모 대지(대지면적 167.6㎡)에서 전용면적을 최대한 확보한다.
2. 경사진 도로에서 접근하기 편리한 주차구획과 출입구를 확보한다.
3. 기존 건물에서 북서측 모퉁이를 곡면처리한 것처럼, 정면성을 살린다.
1. 대지현황 분석
2. 전용면적 최대 확보
3. 접근성 향상
4. 정원 산책로 (Promenade Plantée)
5. 도로 모퉁이에 건물의 얼굴 만들기
1. 대지현황 분석
2. 출입동선 선정
3. 가용면적 확보
4. 내∙외부공간 연계
5. 도로 모퉁이에
건물의 얼굴 만들기
설계과정
1. 대지현황 분석
기존 건물은 이미 용적률이 법정 상한을 초과하여 증축할 수가 없다. 그리고 출입할 때 계단을 이용해야 하고, 주차구획이 없어서 접근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도로 모퉁이의 곡면은 건물에 대한 인지성을 높여준다.
2. 전용면적 최대 확보
벽∙기둥의 구획이 없는 발코니와 외부계단은 끝에서 1m를 후퇴한 선을 기준으로 바닥면적을 산정한다. 정북일조 높이제한에 대응하고, 공용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계단을 북측 실외에 계획한다. 지상층은 물론, 지하층의 전용면적도 최대한 확보한다.
3. 접근성 향상
1층 바닥높이를 대지의 북서측 모퉁이에 맞추어 단차없는 주출입구를 만들고, 경사가 완만한 서측 도로에 면하게 주차구획을 배치한다.
4. 정원 산책로 (Promenade Plantée)
외부계단은 지하1층 선큰에서 지상1층 출입구, 지상2층 발코니, 지상4층 테라스를 거쳐, 옥상정원까지 연결된다. 건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원 산책로를 따라 걸으며 휴식할 수 있다.
5. 도로 모퉁이에 건물의 얼굴 만들기
노출콘크리트로 도로 모퉁이의 곡면을 빚어내어, 건물의 얼굴을 만든다. 그리고 루버로 외부계단∙발코니∙옥상정원의 빈 곳을 메워, 형태를 완성한다.
설계과정
1. 대지현황 분석
2. 출입동선 선정
3. 가용면적 확보
4. 내∙외부공간 연계
5. 도로 모퉁이에
건물의 얼굴 만들기
1. 대지현황 분석
기존 건물은 이미 용적률이 법정 상한을 초과하여 증축할 수가 없다. 그리고 출입할 때 계단을 이용해야 하고, 주차구획이 없어서 접근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도로 모퉁이의 곡면은 건물에 대한 인지성을 높여준다.
2. 전용면적 최대 확보
벽∙기둥의 구획이 없는 발코니와 외부계단은 끝에서 1m를 후퇴한 선을 기준으로 바닥면적을 산정한다. 정북일조 높이제한에 대응하고, 공용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계단을 북측 실외에 계획한다. 지상층은 물론, 지하층의 전용면적도 최대한 확보한다.
3. 접근성 향상
1층 바닥높이를 대지의 북서측 모퉁이에 맞추어 단차없는 주출입구를 만들고, 경사가 완만한 서측 도로에 면하게 주차구획을 배치한다.
4. 정원 산책로 (Promenade Plantée)
외부계단은 지하1층 선큰에서 지상1층 출입구, 지상2층 발코니, 지상4층 테라스를 거쳐, 옥상정원까지 연결된다. 건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원 산책로를 따라 걸으며 휴식할 수 있다.
5. 도로 모퉁이에 건물의 얼굴 만들기
노출콘크리트로 도로 모퉁이의 곡면을 빚어내어, 건물의 얼굴을 만든다. 그리고 루버로 외부계단∙발코니∙옥상정원의 빈 곳을 메워, 형태를 완성한다.



근린생활시설과 정원 산책로 (Promenade Plantée)
실내 근린생활시설에서 일하고, 실외 정원 산책로에서 휴식한다.



실외 계단과 실내 엘리베이터
실외에 위치한 계단은 발코니∙테라스∙옥상정원 등과 연속적으로 이어져, 정원 산책로(Promenade Plantée)를 구성한다. 반면에 사람들이 자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는 편의를 고려하여 실내에 배치한다.



발코니 (지상2층)
주출입구를 거쳐 계단을 오르면, 높은 층고의 발코니가 나타난다. 발코니의 조경은 휴게공간이자, 건물의 얼굴이 된다.



테라스 (지상4층)
4층에 도착하여 넓은 테라스를 따라 걸으면, 옥상정원으로 올라가는 계단과 테라스 조경이 나타난다.



옥상정원 (옥탑층)
옥상에 도착하면 넓은 정원이 펼쳐진다. 건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휴게장소가 된다.



정원 산책로 (Promenade Plantée)
휴식이 필요할 때, 엘리베이터를 타고 옥상으로 올라간다. 옥상정원에서 4층 테라스와 2층 발코니를 거쳐 지면까지 산책하며 내려온다.




배치
1. 옥상정원
2. 승강기탑
3. 테라스(4층)
4. 주차장(1층)
5. 주출입구
6. 부출입구
1
3
4
▼
6
▼
5
2
2
5
▼
6
▼
4
3
1

배치
1. 옥상정원
2. 승강기탑
3. 테라스(4층)
4. 주차장(1층)
5. 주출입구
6. 부출입구
1
3
4
▼
6
▼
5
2
2
5
▼
6
▼
4
3
1
배치
1. 옥상정원
2. 승강기탑
3. 테라스(4층)
4. 주차장(1층)
5. 주출입구
6. 부출입구

배치
1. 옥상정원
2. 승강기탑
3. 테라스(4층)
4. 주차장(1층)
5. 주출입구
6. 부출입구
1
3
4
▼
6
▼
5
2
2
5
▼
6
▼
4
3
1
배치
1. 옥상정원
2. 승강기탑
3. 테라스(4층)
4. 주차장(1층)
5. 주출입구
6. 부출입구

2
1
3
4
지하1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선큰 및 외부계단
4. 창고
3
4
1
2

2
1
3
4
지하1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선큰 및 외부계단
4. 창고
3
4
1
2
지하1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선큰 및 외부계단
4. 창고

2
1
3
4
지하1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선큰 및 외부계단
4. 창고
3
4
1
2
지하1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선큰 및 외부계단
4. 창고

2
1
3
지상1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주출입구 및 외부계단
4. 주차장
4
4
3
1
2

2
1
3
지상1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주출입구 및 외부계단
4. 주차장
4
4
3
1
2
지상1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주출입구 및 외부계단
4. 주차장

2
1
3
지상1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주출입구 및 외부계단
4. 주차장
4
4
3
1
2
지상1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주출입구 및 외부계단
4. 주차장

2
1
3
지상2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발코니 및 외부계단
3
1
2

2
1
3
지상2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발코니 및 외부계단
3
1
2
지상2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발코니 및 외부계단

2
1
3
지상2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발코니 및 외부계단
3
1
2
지상2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발코니 및 외부계단

2
1
3
지상3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발코니 및 외부계단
1
2
3

2
1
3
지상3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발코니 및 외부계단
1
2
3
지상3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발코니 및 외부계단

2
1
3
지상3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발코니 및 외부계단
1
2
3
지상3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발코니 및 외부계단

2
1
3
지상4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테라스 및 외부계단
1
2
3

2
1
3
지상4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테라스 및 외부계단
1
2
3
지상4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테라스 및 외부계단

2
1
3
지상4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테라스 및 외부계단
1
2
3
지상4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테라스 및 외부계단

2
1
3
옥탑층 평면도
1. 옥상정원
2. 홀
3. 테라스(4층)
2
1
3

2
1
3
옥탑층 평면도
1. 옥상정원
2. 홀
3. 테라스(4층)
2
1
3
옥탑층 평면도
1. 옥상정원
2. 홀
3. 테라스(4층)

2
1
3
옥탑층 평면도
1. 옥상정원
2. 홀
3. 테라스(4층)
2
1
3
옥탑층 평면도
1. 옥상정원
2. 홀
3. 테라스(4층)

종단면도
1. 선큰 및 외부계단
2. 창고
3. 사무소
4. 주출입구 및 외부계단
5. 출입통로
6. 발코니 및 외부계단
7. 테라스 및 외부계단
1
2
3
5
4
6
6
7
7
6
6
5
4
3
2
1

종단면도
1. 선큰 및 외부계단
2. 창고
3. 사무소
4. 주출입구 및 외부계단
5. 출입통로
6. 발코니 및 외부계단
7. 테라스 및 외부계단
1
2
3
4
5
6
6
7
7
6
6
5
4
3
2
1
종단면도
1. 선큰 및 외부계단
2. 창고
3. 사무소
4. 주출입구 및 외부계단
5. 출입통로
6. 발코니 및 외부계단
7. 테라스 및 외부계단

종단면도
1. 선큰 및 외부계단
2. 창고
3. 사무소
4. 주출입구 및 외부계단
5. 출입통로
6. 발코니 및 외부계단
7. 테라스 및 외부계단
1
2
3
5
4
6
6
7
7
6
6
5
4
3
2
1
종단면도
1. 선큰 및 외부계단
2. 창고
3. 사무소
4. 주출입구 및 외부계단
5. 출입통로
6. 발코니 및 외부계단
7. 테라스 및 외부계단

횡단면도
1. 사무소
2. 주출입구
3. 발코니
4. 옥상정원
1
1
1
1
1
2
3
4
4
4
1
1
1
1
1
3
2

횡단면도
1. 사무소
2. 주출입구
3. 발코니
4. 옥상정원
1
2
3
1
1
1
1
1
4
4
1
1
1
1
1
3
2
횡단면도
1. 사무소
2. 주출입구
3. 발코니
4. 옥상정원

횡단면도
1. 사무소
2. 주출입구
3. 발코니
4. 옥상정원
1
1
1
1
1
2
3
4
4
4
1
1
1
1
1
3
2
횡단면도
1. 사무소
2. 주출입구
3. 발코니
4. 옥상정원



기존 건물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 건물 짓기
먼저, 35년 전에 지어진 건물의 대수선을 검토했다.
기존 건물은 위반건축물 양성화를 거쳐, 법정 상한 용적률 200%를 27.7% 초과한 면적을 확보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신축을 하지 않고서는 변화한 환경과 법규에 맞게 조정할 수 없는 요소가 많다.
경사진 도로에 면하여 계단으로만 출입이 가능하고, 주차장이 없어서 접근성이 떨어진다.
건물의 남측 계단에 인접하여 승강기를 설치할 경우, 건물 남측면의 채광이 불가능해진다.
법정 상한 건폐율이 50%에서 60%로 증가하여, 소규모 대지에서 5평의 건축면적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신축 시, 반드시 해결해야할 설계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소규모 대지(대지면적 167.6㎡)에서 전용면적을 최대한 확보한다.
2. 경사진 도로에서 접근하기 편리한 주차구획과 출입구를 확보한다.
3. 기존 건물에서 북서측 모퉁이를 곡면처리한 것처럼, 정면성을 살린다.
기존 건물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 건물 짓기
먼저, 35년 전에 지어진 건물의 대수선을 검토했다.
기존 건물은 위반건축물 양성화를 거쳐, 법정 상한 용적률 200%를 27.7% 초과한 면적을 확보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신축을 하지 않고서는, 변화한 환경과 법규에 맞게 조정할 수 없는 요소가 많다.
경사진 도로에 면하여 계단으로만 출입이 가능하고, 주차장이 없어서 접근성이 떨어진다.
건물의 남측 계단에 인접하여 승강기를 설치할 경우, 건물 남측면의 채광이 불가능해진다.
법정 상한 건폐율이 50%에서 60%로 증가하여, 소규모 대지에서 5평의 건축면적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신축 시, 반드시 해결해야할 설계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소규모 대지(대지면적 167.6㎡)에서 전용면적을 최대한 확보한다.
2. 경사진 도로에서 접근하기 편리한 주차구획과 출입구를 확보한다.
3. 기존 건물에서 북서측 모퉁이를 곡면처리한 것처럼, 정면성을 살린다.
Connect to Content
Add layers or components to swipe between.
Connect to Content
Add layers or components to swipe between.
설계과정
1. 대지현황 분석
기존 건물은 이미 용적률이 법정 상한을 초과하여 증축할 수가 없다. 그리고 출입할 때 계단을 이용해야 하고, 주차구획이 없어서 접근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도로 모퉁이의 곡면은 건물에 대한 인지성을 높여준다.
2. 전용면적 최대 확보
벽∙기둥의 구획이 없는 발코니와 외부계단은 끝에서 1m를 후퇴한 선을 기준으로 바닥면적을 산정한다. 정북일조 높이제한에 대응하고, 공용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계단을 북측 실외에 계획한다. 지상층은 물론, 지하층의 전용면적도 최대한 확보한다.
3. 접근성 향상
1층 바닥높이를 대지의 북서측 모퉁이에 맞추어 단차없는 주출입구를 만들고, 경사가 완만한 서측 도로에 면하게 주차구획을 배치한다.
4. 정원 산책로 (Promenade Plantée)
외부계단은 지하1층 선큰에서 지상1층 출입구, 지상2층 발코니, 지상4층 테라스를 거쳐, 옥상정원까지 연결된다. 건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원 산책로를 따라 걸으며 휴식할 수 있다.
5. 도로 모퉁이에 건물의 얼굴 만들기
노출콘크리트로 도로 모퉁이의 곡면을 빚어내어, 건물의 얼굴을 만든다. 그리고 루버로 외부계단∙발코니∙옥상정원의 빈 곳을 메워, 형태를 완성한다.
설계과정
1. 대지현황 분석
기존 건물은 이미 용적률이 법정 상한을 초과하여 증축할 수가 없다. 그리고 출입할 때 계단을 이용해야 하고, 주차구획이 없어서 접근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도로 모퉁이의 곡면은 건물에 대한 인지성을 높여준다.
2. 전용면적 최대 확보
벽∙기둥의 구획이 없는 발코니와 외부계단은 끝에서 1m를 후퇴한 선을 기준으로 바닥면적을 산정한다. 정북일조 높이제한에 대응하고, 공용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계단을 북측 실외에 계획한다. 지상층은 물론, 지하층의 전용면적도 최대한 확보한다.
3. 접근성 향상
1층 바닥높이를 대지의 북서측 모퉁이에 맞추어 단차없는 주출입구를 만들고, 경사가 완만한 서측 도로에 면하게 주차구획을 배치한다.
4. 정원 산책로 (Promenade Plantée)
외부계단은 지하1층 선큰에서 지상1층 출입구, 지상2층 발코니, 지상4층 테라스를 거쳐, 옥상정원까지 연결된다. 건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원 산책로를 따라 걸으며 휴식할 수 있다.
5. 도로 모퉁이에 건물의 얼굴 만들기
노출콘크리트로 도로 모퉁이의 곡면을 빚어내어, 건물의 얼굴을 만든다. 그리고 루버로 외부계단∙발코니∙옥상정원의 빈 곳을 메워, 형태를 완성한다.



근린생활시설과 정원 산책로 (Promenade Plantée)
실내 근린생활시설에서 일하고, 실외 정원 산책로에서 휴식한다.



실외 계단과 실내 엘리베이터
실외에 위치한 계단은 발코니∙테라스∙옥상정원 등과 연속적으로 이어져, 정원 산책로(Promenade Plantée)를 구성한다. 반면에 사람들이 자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는 편의를 고려하여 실내에 배치한다.



발코니 (지상2층)
주출입구를 거쳐 계단을 오르면, 높은 층고의 발코니가 나타난다. 발코니의 조경은 휴게공간이자, 건물의 얼굴이 된다.



테라스 (지상4층)
4층에 도착하여 넓은 테라스를 따라 걸으면, 옥상정원으로 올라가는 계단과 테라스 조경이 나타난다.



옥상정원 (옥탑층)
옥상에 도착하면 넓은 정원이 펼쳐진다. 건물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휴게장소가 된다.



정원 산책로 (Promenade Plantée)
휴식이 필요할 때, 엘리베이터를 타고 옥상으로 올라간다. 옥상정원에서 4층 테라스와 2층 발코니를 거쳐 지면까지 산책하며 내려온다.













3
2
1
4
►
►
4
1
2
3

3
2
1
4
►
►
4
1
2
3

3
2
1
4
►
►
4
1
2
3

4
5
4
2
2
1
3
2
2
1
4
5
3

4
5
4
2
2
1
3
2
2
1
4
5
3

4
1
5
2
2
3
3
2
2
1
4
5
3

4
3
5
2
5
1
7
7
2
5
5
4
3
7
7
1
6
6
6

4
3
5
2
5
1
7
7
2
5
5
4
3
7
7
1
6
6
6

2
5
5
4
3
7
7
1
2
5
5
4
3
7
7
1
4
6
6

2
3
3
1
5
4
4
1
3
3
2
5
4
배치
1. 옥상정원
2. 승강기탑
3. 테라스(4층)
4. 주차장(1층)
5. 주출입구
6. 부출입구

2
3
3
1
5
4
4
1
3
3
2
5
4
배치
1. 옥상정원
2. 승강기탑
3. 테라스(4층)
4. 주차장(1층)
5. 주출입구
6. 부출입구

1
3
3
2
5
5
4
1
3
3
2
5
4
배치
1. 옥상정원
2. 승강기탑
3. 테라스(4층)
4. 주차장(1층)
5. 주출입구
6. 부출입구
배치
1. 옥상정원
2. 승강기탑
3. 테라스(4층)
4. 주차장(1층)
5. 주출입구
6. 부출입구

2
1
3
3
1
2
3
지하1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선큰 및 외부계단
4. 창고

2
1
3
3
1
2
3
지하1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선큰 및 외부계단
4. 창고

1
1
2
3
1
2
3
지하1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선큰 및 외부계단
4. 창고
지하1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선큰 및 외부계단
4. 창고

2
2
6
2
7
4
5
5
5
5
5
3
5
5
7
1
7
6
5
5
5
5
4
3
2
2
2
1
지상1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주출입구 및 외부계단
4. 주차장

2
2
6
2
7
4
5
5
5
5
5
3
5
5
7
1
7
6
5
5
5
5
4
3
2
2
2
1
지상1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주출입구 및 외부계단
4. 주차장

2
2
6
2
7
6
5
5
5
5
4
3
2
2
2
1
7
6
5
5
5
5
4
3
2
2
2
1
지상1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주출입구 및 외부계단
4. 주차장
지상1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주출입구 및 외부계단
4. 주차장

1
1
8
1
8
7
6
5
4
3
7
6
5
2
8
7
6
5
4
3
1
1
1
2
지상2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발코니 및 외부계단

1
1
8
1
8
7
6
5
4
3
7
6
5
2
8
7
6
5
4
3
1
1
1
2
지상2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발코니 및 외부계단

1
1
8
1
8
7
6
5
4
3
1
1
1
2
8
7
6
5
4
3
1
1
1
2
지상2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발코니 및 외부계단
지상2층 평면도
1. 사무소
2. 홀
3. 발코니 및 외부계단